목록Computer Science (25)
취미가 좋다

프로세스 동기화 & 상호 배제에 대해서 살펴보자. synchronization (동기화) Critical Section (임계 영역) Mutual Exclusion (상호 배제) Mutual Exclution Methods Mutual Exclution Primitives (turn, flag) Process Synchronization (동기화) 동기화라는 개념이 어떻게 나왔을까?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시에 동작한다. - 따라서 공유 자원 또는 데이터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동기화 (Synchronization) : 자원을 공유할 때 생기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스들이 대화하는 것이다. ..

이전 글에 이어서 스케줄링을 더 알아볼 것이다. 기본 스케줄링 알고리즘 FCFS RR SPN SRTN HRRN MLQ MFQ 기본 스케줄링 알고리즘 (Basic Scheduling algorithms) 1. FCFS (First Come First Service) :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한다. - Non-preemptive scheduling - 스케줄링의 기준은 도착 시간이 된다. 어떤 프로세스가 ready queue에 먼저 도착했는지를 본다. 장점 - scheduling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overhead가 작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 일괄처리 시스템 (Batch system)에 적합하다. 단점 - 긴 평균 응답시간 (reponse time)과 convoy effect..

스케줄링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케줄리의 목적 스케줄링 기준 및 단계 스케줄링 정책 스케줄링을 왜 해야할까? 먼저 우리의 시스템은 여러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다중프로그래밍 환경이다. 다중 프로그래밍 :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환경 자원을 할당할 프로세스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자원을 나누어 주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시간 분할 (time sharing) 관리 CPU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들어가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따라서 프로세서 사용 시간을 프로세스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프로세스 스케줄링 (Process Scheduling)이라고 한다. 2. 공간 분할 (space sharing) 관리 반면 메모리 같은 경우는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할 ..

이전 글에서 설명한 context swith를 줄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thread이다. 프로세스와 thread 프로세스가 하는 일은 자원을 할당받고, 그 자원을 제어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프로세스를 자원과 제어로 나누어 볼 때, 제어만을 분리하여 본 것을 thread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 여러 개의 thread (제어) 가 있을 수 있다. 프로세스는 여러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고, 그 자원들을 제어하는 thread가 여러 개인 것이다. Process = resource + 제어 resource 코드 데이터 힙 - 코드 : PC가 가리키는 그 곳 - 전역 데이터 : 작업을 하기 위한 데이터 - 힙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이 있다. 제어 - 제어 정보 : PC(프로그램..

간단하게 넘어갔던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Windows 작업 관리자를 보면 프로세스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먼저 작업과 프로세스를 구별해보자. 작업 (Job) / 프로그램 (Program) - 실행할 프로그램 + 데이터 - 디스크에 보관이 되어 있는 상태로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 요정 전의 상태 프로세스 (Process) - 프로그램을 실행해 달라는 요청에 의해 프로그램이 시스템(커널)에 등록된 상태를 가진다. -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널에 의해 관리된다. -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등록되어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면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 각종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 받을 수 있고, 프로세스 관리 블록(PCB)을 할당받을 수 있다. - 실행 중에 각종 자원을 요구, 할당, 반납하면서..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 운영체제란 컴퓨터 시스템 자원(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글에서는 운영체제의 역할, 구분, 구조, 기능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1. 운영체제의 역할 1. User Interface (편리성) 사용자가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문자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 결과도 문자로 받는 CUI를 사용하였다. 현재에는 그림 형태로 되어 있는 GUI를 사용한다. 특별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기기는 그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EUCI를 사용한다. 2. Resource management (효율성) 주어진 자원을 잘 활용하여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HW re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