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가 좋다
Cloud Computing 분류 (Iaas, Paas, Saas) 본문
Cloud Computing 분류
2가지 분류 기준으로 Cloud Computing을 분류해본다.
Service Model 로 분류
On Premise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아니지만, 모든 것을 사용자가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 내에서 필요한 하드웨어를 모두 사고, 환경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모든 것을 직접 해야한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T 기본 자원만 제공받는다. (Server, Stroage, Network)
새로 컴퓨터를 하나 구매하는 개념이다. 컴퓨터에 OS설치부터 이후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AWS EC2가 여기에 속한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OS, Middleware, Runtime을 추가한 형태로, 코드 개발만 해서 올릴 수 있는 상태이다.
- Middleware : RDBMS 등
- Runtime : JDK, Python 등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환경
개념의 범위가 가장 넓고, 일반적으로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다.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SaaS (Softsware as a Service)
모든 기능이 동작하는 SW 자체를 서비스로 제공받는 형태이다.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구글 캘린더, 네이버 메일, Office 365, Dropbox, ERP, CRM ...)
(이렇게 이미 만들어진 클라우드 SW)
Deployment Model 로 분류
Public Cloud
Cloud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누구든지 사용 가능하다.
누구나 사용한 만큼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Private Cloud
기업 및 기관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Cloud Computing 환경을 구축한 것이다.
해당 기업/기관에 속하지 않은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
구축 난이도는 높지만, 보안/법적 규제 등의 이유로 사용한다.
Hybrid Cloud
Public/Private Cloud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형태이다.
모안이 중요한 시스템은 Private Cloud에, 그 외 시스템은 Public Cloud를 사용한다.
Private Cloud를 주고 사용하되, 예상치 못한 수준의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 Public Cloud로 확장한다.
최근 기업들이 가장 관심을 많이 갖는 형태이다.
Community Cloud
한정된 몇 기업/기관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개발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gger 기초 (0) | 2021.08.30 |
---|